임상으로 검증한
혁신적인 기술력
Microbiome 구강유산균 한 분야만을 집중 연구하여 이뤄낸 성과와 결과, 이제 당신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oraCMU®와 oraCMS1®균주는
오라틱스 고유의 등록상표입니다.
국내 최초*
1997년 이래 구강유산균 한 분야만을 연구하고 있으며, 구강이 건강한 어린이의 타액에서 유래된 1,640개의 균주 중 안전성, 정착력, 유해균 제어에 탁월한 기능을 가진 구강유산균 균주를 국내 최초 개발하였습니다.
* 2005년 구강유산균 특허등록
국내 유일*
임상완료
오라틱스는 시험관 내 실험(in vitro) 연구에 만족하지 않습니다. 국내 구강유산균 균주 중 유일하게 서울대 치과병원 등 대표 전문의과대학과 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구강환경을 가지고 있는 다수의 사람을 대상으로 8건의 임상적 검증을 완료하였습니다.
미국 FDA GRAS 인증
oraCMU®는 유전자 및 독성 분석, 인체 적용시험 결과 등을 통해 미국 FDA로부터 안전성을 인정받아 국내 구강유산균 중 유일하게 안전성을 인증받은 균주입니다.
* 2023년 7월 기준, 구강유산균 부문
국내 최다*
SCIE급 국제학술지와 KCI급 등 총 34편의 연구논문을 게재하여 효과성과 기능성을 검증하였습니다.
* 2023년 7월 기준, 구강유산균 부문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6중 복합기능성
- 1.탁월한 응집작용
-
유해균과 결합하여 유해균이 구강상피세포 및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합니다. J Bacterol Virol. 2006;36(3):151-157
공동응집
- 2.강력한 항균작용
-
구강에서 항균작용을 하는 과산화수소, 유기산, 지방산, 박테리오신 등을 분비하여 유해균의 성장을 막고 항균합니다. Molecules 2018;23(8):1984
유기산 지방산 박테리오신
- 3.플라그 생성 억제
-
플라크의 원인이 되는 점착성 뮤탄 생성을 억제하여 바이오필름(플라크, 치태) 발생을 방지합니다. Caries Res. 2006;40(5):418-25
점착성 뮤탄 점착성 뮤탄 생성 억제
- 4.휘발성 황화합물 생성 억제
-
P. gingivalis균의 mgl유전자와 METase 효소 활성을 감소시켜 구취의 주성분인 휘발성 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합니다. Caries Res. 2006;40(5):418-25
mgl유전자 METase 효소
- 5.염증유발물질 생성 억제
-
유해균에 유도되는 염증유발물질 NO, IL-1β, IL-6, IL-8 생성을 억제합니다. Mol Med Rep. 2020;22:4143-4150
염증유발물질
- 6.유해균 부착 억제
-
구강상피세포에 우위적으로 부착하여 각종 구강질환을 일으키는 유해균이 구강상피세포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지속적으로 작용합니다. Mol Med Rep. 2020;22:4143-4150
구강상피세포
In vitro
- 구취·치주질환 원인균
-
P. gingivalis 99.9% 억제
F. nucleatum 96.6% 억제
- 치주질환 원인균
- A. actinomycetemcomitans 99.9% 억제
- 충치원인균
- S. mutans 97.7% 억제
-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능
- S. mutans 생성 바이오필름 96.8% 억제
- 구취억제능
- H2S 48.2% 억제, CH3SH 59.4% 억제
- 과산화수소 분비능력
- H2O2 3.91 mM
- 공동응집력
- Fn, Td, Pi 66.5%~89.3%
전임상시험
- 구취 원인균 억제 능력
- Fn, Pg, Pi, Tf 58.8~99.6% 억제
- 구취 억제 능력
-
관능구취 40.5% 억제
휘발성 황화합물 37.3% 억제
CH3SH 52.6% 억제
- 충치 억제 능력
- 치태지수 30.6% 억제
- 치주염 억제 능력
- 치조골 손실 26.9% 억제
- 잇몸염증 유발인자 억제
- TN-α 1.2배 ,IL-ß 1.1배 ,IL-6 1.3배 감소
- 구강 정착 능력
- oraCMU 70.6% 증가
인체적용시험
- 59.4% 구취감소
- J Clin Periodontol 2006;33:226-232
- 20.7% 치태억제
- Caries Res 2006;40:418-425
- 18.4% 치면세균막 억제
- Indian J Public Health. 2018;9(9):1163-1169
- 18.5% 충치균 감소
- Indian J Public Health. 2018;9(9):1163-1169
- 8주 구취개선 효과
- 2017년 단국대 치대 / 2018년 강원대 간호대
- 414% 섭취중단 8주 구강정착력 증가
- Indian J Public Health. 2018;9(9):1163-1169
- 8주 잇몸 출혈지수 감소
- BMC Oral Health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