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유산균은 섭취하였을 때 구강건강에
도움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의미합니다.
구강유산균은 기존 화학 제품들과 달리 구강에 유익한
유산균을 공급해 유해균은 제어하고 유익균을 증식시켜
건강하고 균형잡힌 입 속 환경을 조성합니다.
입안에는 치아, 잇몸, 혀 입안 점막 등 다양한 기관이 존재한다.
90% 이상의 구강 증상은 구강 내 유해균에 의해 발생하며,
구강 내 질환이 발생할 경우 구강 기관들이 그 기능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구강 내 독소·세균, 혈관 통해
전신 전달돼 전신질환 발생
구강(Oral cavity)은
외부 공기, 음식물, 세균, 바이러스 등이
신체 내로 들어오는 첫 통로로, 구강 문제는 구강을 넘어
전신질환고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요한 기관 입니다.
최근 구강질환과 전신질환
상관성 연구 급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1.17배
만성 치주염, 임플란트 주위염
저체중아 위험 최대 7배
만성 치주염, 임플란트 주위염
혈관성 치매 1.7배
난치성 취주염, 치조골 감염
뇌졸중 2.8배
치주염, 임플란트 주위염
조산위험 최대 7배
임플란트 주위염, 치주염
심혈관계질환 2.2배
치주염, 임플란트 주위염,
치조골 감염, 치주 및 치근단 질환
당뇨병 6배
만성 치주염, 임플란튼 치주염, 치조골 감염
임산부 및 태아 상태 | 유병률 |
---|---|
비만 임산부 조산 | 1.55배 |
흠연 임산부 조산 | 2~3배 |
치주질환 임산부 조산·저체중 | 7배 |
오라틱스는 구강 미생물 균형을 무너뜨리는 화학적 박멸시스템을
대신할 구강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을 찾아냈습니다.
오라틱스는 구강에서 서식하는 구강유산균으로
무너진 구강 미생물 생태계의 균형을 회복시켜 문제의 근원을 해결합니다.
CMU
CMS1
BAD BREATH
BLASTER
IMMUNE
BOOSTING
HOLISTIC
ORALHEALTH
구강이 건강한 어린이의 타액에서 유래된 1,640개의 균주 중
안정성, 구강 정착력, 유해균 제어에 모두 탁월한 기능을 가지는
4개의 균주(oraCMU®, oraCMS1®, oraCMS2®, oraCMS3®)를
분리하였고 그중 2가지 균주가 함유된 제품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는 대한민국 최초의 oral care probiotics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논문, 특허, 국책 과제까지!
결과로 입증하는 구강유산균
자사 구강유산균은 유해균의 특정 부위를 인식하여
유해균과 쉽게 결합하는데, 유해균이 구강상피세포 및
치아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막고 쉽게 제거되도록 작용합니다.
J Bacterol Virol. 2006;36(3):151-157.
A-2.1
충치균 당분으로부터 플라그의 원인이 되는 점질성 물질을
생성하지만, 자사 구강유산균이 함께 존재하면 이 과정을 막아
바이오필름 (치석, 플라그)발생을 억제합니다.
Caries Res. 2006;40(5):418-25.
A-4.3
자사 구강유산균은 항균 작용을 하는 과산화수소,
유기산 지방산, 박테리오신 등을 세포 외로 분비하여
구취, 치주유발균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Molecules 2018;23(8):1984.
A-12.1
자사 구강유산균은 구취, 치주유발균이
구강상피세포에 부착하는 것을 방해하여 각종
구강질환 발생을 억헤합니다.
J Bacterol Virol. 2011;41(1):17-26.6
A-7.1
휘발성 황화합물을 만드는데 관여하는 P,gingivalis의
mgl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METase 효소 활성을
억제 및 차단합니다.
Int J Oral Biol. 2019;44:152-159
A-18.1
OraCMU는 구강 유해균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유발물질
(MO, IL-1, IL-6)을 생성하는
유전자 발현은 억제합니다.
Mol Med Rep. 2020;22:4143-4150.
A-22.1
J Clin Priodontol.
2006;33(3):226-32
A-3.1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인체적용시험 결과보고서
A-23.1 / .2
J Med Food.
2020;23(6)
A-20.1
8MC Oral Health
2020;20:243
A-21.1
Caries Res.
2006;40(5):418-25
A-4.2
Indian J Public Health
Res&Dev. 2018;9(9):1163.
A-14.1
Indian J Public Health
Res&Dev. 2018;9(9):1163.
A-14.2
Indian J Public Health
Res&Dev. 2018;9(9):1163.
A-14.3
구취 억제 능력 | 충치 억제 능력 | 구취 원인균 억제 능력 | 구강 정착 능력 | ||
---|---|---|---|---|---|
관능 구취 | 휘발성 황화합물 농도 | CH3SH 농도 | 치태지수 | 구취 원인균 4종 (Fn,Pg,Pi,Tf) |
oraCMU (W.cibaria CMU) |
40.5% 억제 A-17.1 |
37.3% 억제 A-17.2 |
52.6% 억제 A-17.3 |
30.6% 억제 A-17.4 |
58.8%~99.6% 억제 A-17.5 |
70.6% 증가 A-17.6 |
치주염 정착 능력 | 잇몸 염증 유발인자 생성 억제 |
---|---|
Alveolar bone loss |
TNF-α, IL-β, IL-6 |
26.9% 억제 A-19.1 |
각 1.2배, 1.1배, 1.3배 감소 A-19.2 |
총 7건의 인체적용시험에서 원료의 안정성에 문제 없었음을 확인하였음.
오라틱스는 화학적 박멸시스템에서 탈피하여 무너진 구강 미생물 생태계의
균형을 회복시키고 인간과 미생물의 상호공존과 균형의 관점으로
각종 구강 문제의 근본적이고 지속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